반응형
티스토리를 하다보면 아주 간단하게 수익을 예상할 수 있는 지표들이 있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티스토리 블로그 애드센스 수익과 환율 : 블로그 조회수 페이지뷰 참고해서 심플하게 이해해볼께요. 물론 개인 블로그들의 주력 아이템들에 따라서 체류시간, 페이지뷰 가독성 등에 따라서 차이는 발생합니다. 참고 정도로 보시면 도움이 될것이라 봅니다.
애드센스는 '환율'의 영향을 크게 받습니다. 예를 들어 한달에 똑같이 100달러 수입이 달러로 잡혔다. 환율이 1000원일 때와 환율이 1200원일 때는 받게 되는 수익. 즉 원화 다르다. 은행 수수료 1만원을 빼고 계산하면. 뭐 더 싸게 할 수 있는 방법과 은행이 있지만 이것은 패스.
환율이 1000원일 때 지급받는 금액은 9만원, 환율이 1200원일 때 지급받는 금액은 11만원이 되기 때문에 무려
2만원 차이가 발생합니다.
어떻게 보면 기본 상식 중 상식인데 블로그에 보면 달러로만 수익을 인증하고 환전을 하지 않으시는 분들이 상당수라 제가 이 부분에 대해 적어 봤습니다. 실제 은행에서는 환율 우대가 아닌 이상 위에 나온 환율보다는 약간 적게 계산해서
지급해 주는데요. 이유는 네이버에 환율을 검색하셔서 '송금받을때'로 검색하시면 이 금액으로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실 블로그나 유튜브를 하는 입장에서는 환율이 올라가는게 원화로 수익을 지급받는 데 유리할 수는 있겠으나,
다른 경제 주체 입장에서는 불리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1달러당 1500원을 넘기던 시절의 애드센스 수익을 만들던 시절이 호시절이였죠.
애드센스 수익은
조회수 보다는 페이지뷰 확인하고 페이지 CTR 확인하고 마지막으로 클릭당 단가 곱해주면 심플하게 어바웃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들어 페이지뷰 1만 나오고 페이지CTR 3.64% 나왔고, 마지막으로 CPC 0.2달러 가정해 보면요.
10,000 * 3.64% * 0.2달러 = 72.8달러
아래에서 통상적인 원달러 환율 1225.6 달러 적용하면 89,223원 나오네요.
실제 이 계산법으로 해보면 오차범위 5달러 정도에서 거의 동일하게 나오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는 애드센스 어플 통계가 너무 잘 나오기 때문에 광고클릭수 * 클릭당 단가 곱해도 바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티스토리 블로그 애드센스 수익과 환율 : 블로그 조회수 페이지뷰 자료로 수익 계산해 보았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