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일부터 K-패스가 시행되었다. K-패스는 기존에 쓰던 알뜰교통카드의 불편함을 개선하고, 교통할인 혜택의 폭을 넓힌 교통할인카드다. 새롭게 등장한 K-패스에 궁금한 사항도 많을 터.
K-패스에 대한 주요 궁금증을 정리했다. K-패스는 알뜰교통카드처럼 카드마다 추가적인 교통할인 및 생활지출 할인 혜택도 함께 받을 수 있다. 카드사마다 각기 다른 K-패스 신용·체크카드 혜택도 비교 정리해본다.
K-패스 주요 QnA 총정리
Q. K-패스는 어떤 교통할인카드인가요?
A. K-패스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교통비의 일정 비율을 환급해주는 교통비 할인 카드입니다. 알뜰교통카드와 달리 이용 횟수만 확인하여 자동으로 할인이 적용됩니다.
- 할인율: 일반 20%, 청년 30%, 저소득층 53% (청년: 만 19세~34세)
- 월 최대 60회까지 할인 적용
- 예시: 한 달 교통비 7만 원 사용 시, 일반 14,000원, 청년 21,000원, 저소득층 37,000원 환급
Q. K-패스로 GTX 타면 교통비 할인 받나요?
A. 네, GTX도 K-패스 할인 대상입니다. K-패스는 전국 모든 대중교통(시내/마을버스, 지하철, 광역버스, GTX, 신분당선 등)에 적용됩니다.
Q. K-패스는 언제부터 진행되나요?
A. K-패스는 2023년 5월 1일부터 시행되었으며, 알뜰교통카드에서 K-패스로 전환되었습니다.
Q.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어떻게 K-패스를 이용하나요?
A.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다음 두 가지 방법으로 K-패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알뜰교통카드 외에 K-패스를 추가 발급받기
- 알뜰교통카드 앱에서 K-패스로 회원 전환하기 (2024년 4월 30일까지 앱에서, 6월 30일까지 홈페이지에서 가능)
회원 전환 후 5월 1일부터 K-패스 앱으로 업데이트하고 알뜰교통카드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자동 적립됩니다.
Q. K-패스 이용하려면 신용/체크카드를 새롭게 발급받아야 하나요?
A. K-패스 카드는 2024년 4월 24일부터 10개 카드사에서 발급 가능합니다. (KB국민, NH농협, 삼성, 신한, 우리, 하나, 현대, DGB유페이, BC, 이동의 즐거움) 알뜰교통카드에서 K-패스로 회원 전환한 경우에는 기존 카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Q. 새롭게 K-패스 발급받아 사용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5월 1일 이후 발급받은 경우에는 K-패스 카드 발급 후 K-패스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회원가입하면 자동 적립됩니다. 4월 24일~5월 1일 이전에 발급받은 경우에는 알뜰교통카드 앱에 가입 후 K-패스로 회원 전환해야 합니다.
Q. K-패스에 더해 The 경기패스, 인천 I-패스는 어떻게 사용하나요?
A. K-패스 회원가입 시 자동으로 주소지 검증이 진행되며, 경기도민 또는 인천 시민은 The 경기패스, 인천 I-패스 혜택이 자동 적용됩니다. 이 혜택은 K-패스와 중복 적용되며 횟수 제한이 없습니다.
K-패스 신용/체크카드 혜택 비교:
K-패스는 월 20~53% 교통비 할인 외에도 카드사별로 추가 혜택(대중교통 할인, 통신, 커피, 편의점, 쇼핑 등)을 제공합니다. 자신에게 맞는 카드를 선택하여 더 많은 혜택을 누리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