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법 전원합의체 "이혼했더라도 혼인 무효 가능"

by 머니마스터 💸 2024. 5. 23.
반응형

대법 전원합의체 "이혼했더라도 혼인 무효 가능"

 

 

 

 

목차

     

     

     

     

     

    대법 전원합의체 "이혼했더라도 혼인 무효 가능"정보가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에서 확인하세요!!

     

     

    이혼 보험 조회 👆

     

    이혼 대출한도 신청 👆

     

    금융 상품 비교 견적 👆

     

    혼인 무효 확인을 구하는 사례

    과거에 이혼을 했더라도 당사자 간 실질적 합의가 없었거나 하는 특별한 사정이 있으면 혼인 무효 확인을 구할 수 있다는 대법원의 판결이 나왔습니다.

    판결 변경

    과거 이혼한 부부의 혼인을 무효로 할 수 없다는 40년 전 대법원 판례가 바뀌었습니다. 대법원은 A 씨가 전 남편 B 씨를 상대로 낸 혼인 무효 청구 소송에서 원심의 각하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가정법원으로 돌려보내면서 이같이 판시했습니다.

    새로운 해석

    대법원은 "혼인 관계를 전제로 수많은 법률관계가 형성돼, 그 자체의 무효 확인을 구하는 것이 관련된 분쟁을 한꺼번에 해결하는 유효·적절한 수단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례와 판결 내용

    A 씨는 2001년 B 씨와 결혼했다가 2004년 이혼했는데, 혼인신고 당시 의사를 결정할 수 없는 정신 상태에서 실질적 합의 없이 혼인신고를 했다며 혼인을 무효로 해달라고 청구한 바 있습니다. 대법원은 민법 815조에 따라 당사자 간에 혼인의 합의가 없었거나 근친혼일 경우 혼인을 무효로 할 수 있다고 정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1984년 부부가 이미 이혼을 했더라면 사후에 무효로 돌릴 수 없다는 대법원 판례가 유지돼왔습니다. 해당 판례에서는 "단순히 여성이 혼인했다가 이혼한 것처럼 호적상 기재되어 있어 불명예스럽다는 사유만으로는 (혼인 무효) 확인의 이익이 없다"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관련 정보 더보기

    이혼 정부지원금 조회 👆

     

    정부24 지원금 찾기 👆

     

    복지로 지원금 신청 👆

     

    내게 필요한 대출한도 👆

    반응형